*무의식의 정화*
소원을 이루는 끌어당김을 실천하기 전에 꼭 필요한 과정이 있습니다.
무의식을 정화하는 일인데요.
이것이 필요한 이유는 여러분들의 소원을 성취하는 것을 무의식의 기억과 고정관념이 방해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무의식이 우리의 소원을 어떻게 방해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봅시다.
저는 통합 심리학을 오랫동안 공부했고 실제로 상담을 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30대 A 여성분과 상담을 하게 되었어요.
그분의 문제는 결혼은 하고 싶은데, 본인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남자를 만나서 사귀고 있음에도
결혼 이야기만 나오면 너무 두렵고 남자 친구가 부담스러워 만나지 않게 된다는 것이었어요.
본인도 왜 그러는지 알 수 없어 힘들어 하고 계셨지요.
저는 상담을 통해 이것이,
그분의 무의식에 상처받았지만 치유되지 못한 기억이
트라우마로 남아 현실적인 문제로 만들어 냈음을 알 수 있었어요.
여자 아이가 세상에 태어나 처음으로 경험하게 되는 이성적 상대는 누구일까요?
네, 바로 아빠입니다.
이 여성분이 기억하는 어린 시절 아빠의 모습은 늘 술에 취해 엄마에게 소리를 지르다
본인의 분에 못 이겨 집에 있는 가구를 주먹으로 내리치는 모습이었어요.
이분은 그 당시 7살 정도의 어린 나이였지만 그런 아빠의 모습 보면서
무의식적으로
“남자는 무섭다” “엄마가 불쌍해” “나는 결혼을 하지 않을 거야”라는”
다짐을 하게 됩니다.
그렇게 성장해 30대가 되어 7세 이전의 경험이었던 그 다짐을 잊어버리고 살아가게 되었지만
연속되는 삶 속에서 7세나 30세나 똑같은 하나의 "나" 이기에 무의식 속에서 강렬히 새겨진 다짐은 없어지지 않고
A여성이 결코 원하지 않았던 현실을 창조하며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A여성의 경우 처럼
30대가 되어 "좋은 사람 만나서 결혼하고 싶다"->현재 의식
"남자는 무서워" "결혼은 여자를 불행하게 해" ->무의식(잠재의식)
잠재의식의 힘이 현재 의식보다 100만 배 이상 강력하기 때문에
현실은 무의식의 생각대로 "창조"되는 겁니다.
이상적인 남자를 만나 행복한 가정을 이루는 게 소원이었던
A여성은 자기 소원이 이루어지는 것을 스스로 막고 있었던 것이지요.
이렇게 무의식 속에 남아있는 소원이 이루어지는 것을 막고 있는
부정적인 기억을 정화(치유)해 주지 않으면
아무리 끌어당김 등의 영적 기술을 열심히 실천해도
소원을 이루어주는 램프의 요정 “지니”가 나타난다 해도 소원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소원을 성취하는 끌어당김을 실천하는 과정에
무의식의 정화가 꼭 필요한 것이지요.
보통 끌어당김, 확언, 소원 100일 쓰기 등의 영적 기술을 실천해
성공하지 못하신 분들의 실패 요인에 대부분이 무의식을 정화해 주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다시 이야기로 돌아가서
본인의 무의식 속에 남자에 대한, 결혼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A 여성은
열심히 정화작업을 실천했고, 실천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남자 친구와 행복한 결혼을 하게 되었답니다.
이렇듯 무의식의 정화는 끌어당김의 법칙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고
무의식의 정화가 끌어당김의 법칙의 성공을 결정한다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무의식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형 끌어당기기 (1) | 2021.07.19 |
---|---|
무의식의 정화 (0) | 2021.07.14 |
당신의 소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 3 (0) | 2021.07.12 |
당신의 소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 2 (0) | 2021.07.08 |
당신의 소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 1 (0) | 2021.07.07 |
댓글